top of page

변호사에서 리더십 설계자로: 성공의 틀을 깨고, 나를 재정의하다

  • 6월 24일
  • 6분 분량

최종 수정일: 7월 31일

리더십 워크숍
 2024년 8월, Elumina 리더십 워크숍 리드 트레이너 & 퍼실리테이터 참여

Kalpana Chandran


퀀텀 리퍼스 최고비전책임자(CVO)

프록터 갤러거 연구소 공인 글로벌 컨설턴트

영국 및 말레이시아 변호사 (Solicitor & Barrister)


어느 날, 한 명의 성공한 변호사가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을 질문과 마주했습니다.

“만약, 어떤 제약도 없다면, 당신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싶으신가요?”

주변이 기대하는 모습, 성공의 공식을 따라가는 삶. 칼파나 찬드란(Kalpana Chandran)은 명문대를 졸업한 국제 자격을 갖춘 변호사로 누구나 부러워할 커리어를 만들어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질문은 조용히, 그리고 강하게 그녀의 내면을 흔들었습니다.

“나 답지 않은 틀 안에 갇혀 있었던 건 아닐까?”


그 깨달음은 자신만의 가치와 비전으로 삶을 다시 그려나갈 용기를 건넸고,바로 거기서부터 그녀의 진짜 여정이 시작되었습니다.



리더십의 시작: 방향을 바꾸는 질문들

🎤 언제부터 리더십이 ‘성과’가 아니라 ‘사람’에서 시작된다는 걸 느끼셨나요?

법무팀을 떠나 새로운 환경에서 사람들과 일하기 시작하면서였어요.

그전까지는 단순히‘업무를 잘 처리하는 것’이 리더십의 핵심이라고 믿었죠. 하지만 점차,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도 속으로는 “내가 이 일을 잘 해낼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품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겉으론 자신감 있어 보여도, 많은 이들이 자신의 역할과 내면의 가치 사이에서 괴리감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때 저는 리더십이란 그 사람이 자기 자신과 연결되고, 자신의 방식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는 걸 깊이 깨닫게 되었습니다.


🎤 변호사에서 리더십과 마인드셋 분야로 커리어 방향을 바꾸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제 커리어는 존엄성, 공정성, 인권 같은 가치에 중심을 둔 법률 업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원칙들은 저에게 늘 깊은 의미를 가진 기준이었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한 가지 질문이 저를 사로잡기 시작했습니다.


"단순히 성공하는 것을 넘어, 어떻게 하면 진정한 성취감과 의미를 느낄 수 있을까?"


이 질문은 저를 리더로써의 심리적·내면적 측면, 그리고 마인드셋의 힘에 눈뜨게 했고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습니다.


법률가로서 쌓은 논리적 사고력과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지금도 큰 자산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그 기반 위에서 사람들이 자기 내면과 연결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리더십을 실현하도록 돕는 일에 더 큰 의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리더십은 직함이나 외부의 인정보다, 내면의 목적의식과 회복탄력성, 그리고 자기 인식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믿습니다.


🎤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는 힘은 어디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하시나요?

저에게 변화는 어느 날 문득 떠오른 한 가지 질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것이 정말 내가 원하는 삶인가? 아직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을까?"


그 질문은 단번에 모든 답을 주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그 물음 하나가 저를 다른 방식의 리더십과 삶을 상상하게 했고, 내면의 방향을 바꾸는 조용하지만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진짜 변화는 거창한 결단보다, 오히려 다음과 같은 조용한 자각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모든 것이 가능하다면, 나는 이제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


리더십 워크숍
Knoco 첫 글로벌 지식경영 인증 (2025년 5월) – 20인의 혁신가들이 지식을 나누고 변화를 일으킨 순간
실패와 의구심, 리더를 단련하는 두 얼굴

🎤 처음 사업을 시작했을 때, 예상과 달랐던 현실이나 실패를 겪은 적이 있었나요?

물론이죠. 그것도 아주 여러 번이었습니다. 사업 초기, 수많은 불확실성과 예상치 못한 상황들이 저를 시험했고, 모든 것이 기대 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특히 어떤 실패는 개인적으로 큰 좌절로 다가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 때, 실패라는 개념을 다시 생각해 보았습니다.


FAIL First Attempt In Learning, 실패란 학습을 위한 첫 시도일 뿐이다.”실패는 멈춤의 신호가 아니라, 다음으로 가기 위한 걸음이라는 것이죠.


그리고 “END”라는 단어조차 다르게 보기 시작했습니다. Effort Never Dies, 노력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무언가가 끝나는 듯 보여도, 그 과정에서의 노력은 다음 기회를 위한 공간을 만들어준다는 것을 겪고 또 믿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NO”는 단순한 거절이 아니라, Next Opportunity, 즉, 다음 기회를 향한 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러한 재구성된 사고방식이 실패 속에서도 다시 중심을 잡고, 상황에 적응하고, 마침내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데 큰 힘이 되어주었습니다.


🎤 '거절’이 오히려 '기회'로 바뀐 순간이 있었다면 공유해 주실 수 있나요?

제가 진심을 다해 준비한 프로젝트였고, 분명히 수락될 것이라 확신했죠.하지만 결과는 단호한 거절이었습니다. 그 순간은 너무나 아팠습니다. 제 신념이 조용히 무시당한 것 같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그 ‘거절’은 오히려 방향 전환의 계기가 되었습니다.단순히 비즈니스 제안을 수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제 메시지와 그 안에 담긴 ‘왜’를 다시 들여다보게 되었죠.


저는 제 표현 방식부터 의도까지 하나하나 정리하며 스스로를 더 깊이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 뜻밖의 기회가 열리는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거절’은 다음을 위한 보호막이자 준비의 한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그리고 올 것 같지 않았던 ‘다음 기회’는 우리가 가장 좌절했다고 느끼는 순간, 조용히 모습을 드러낸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흔들릴 때 나를 붙잡아주는 질문의 힘

🎤 리더가 실패를 드러내는 건 약함으로 보일 수 있을까요?

처음 공개적으로 실패를 겪었을 때, 생각보다 큰 상처를 받았습니다. 본능적으로는 물러서고 싶었어요. 상처 난 부분은 감추고,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계속 가고 싶었죠.


그런데 어느 순간, 그 경험을 단순한 패배가 아니라 내 여정의 일부로 바라보게 되면서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실패는 끝이 아니라, 어쩌면 나를 다른 길로 이끄는 시작일 수 있다는 걸 알게 됐거든요.


지금은 결과뿐 아니라 그 사이의 흔들림과 시행착오까지도 함께 나누는 리더가 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스스로, 또 제 팀에게 자주 이렇게 묻습니다.


“이 좌절은 우리에게 어떤 진실을 말해주고 있을까?”


가장 귀한 교훈은, 늘 사람들의 환호 속에서 오지는 않더군요. 오히려 계획대로 되지 않는 순간의 불편함 속에서 조용히 찾아옵니다.


그리고 우리가 그 경험을 외면하지 않고 받아들일 때, 실패는 다음 걸음을 위한 에너지가 됩니다.


🎤 스스로에 대한 의구심이 들 때, 어떻게 균형을 되찾으시나요?

의구심은 누구에게나 찾아옵니다. 중요한 건 그 감정을 억누르거나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잠시 멈춰 ‘궁금해하는 태도’를 갖는 것입니다.


저는 그럴 때마다 스스로에게 이렇게 질문합니다.


이 감정은 왜 지금 나타난 걸까?

나는 나 자신에게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지?

혹시 잊고 있던 진실은 없을까?


리더십이란 의구심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그 감정을 통과해 나아가는 용기에서 시작됩니다.

그래서 저는 종종 이렇게 스스로를 다독입니다.


“그래, 이전에도 이런 어려움을 이겨냈었지.”


자신감은 막연한 기다림 속에 생겨나지 않습니다. 한 걸음씩 내딛는 행동 속에서 쌓여가는 것입니다.

그렇게 리더는 스스로를 단련해 나갈 수 있습니다.


온라인 북런칭
온라인 북런칭 – 《Shaken, Stirred, But Not Deterred Vol.3》 저자들과 함께 (2024년 8월)
낯선 물결 속에서 균형잡기

🎤 불확실성이 커진 지금, 어떤 마인드셋이 리더에게 필요할까요?

통제보다 호기심을, 확실성보다 유연함을 선택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이제는 단순히 긍정적인 생각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끊임없이 바뀌는 환경 속에서 ‘열린 마음’을 유지하는 것, 그것이 진짜 회복탄력성을 만들어냅니다.


과거의 방식이 지금은 더 이상 통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

회복력 있는 리더는 이를 인식하고 스스로에게 이렇게 질문합니다.


“지금, 어떠한 조짐이 보이고, 또 새로운 길이 열리고 있을까?”


그들은 두려움이 아닌 자신의 가치에 기반을 둔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를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냅니다.


🎤 일상적인 리더십에서 ‘감정적 용기’는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나요?

용기란 두려움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나아가기로 선택하는 태도입니다. 그리고 언젠가는 길이 보일 것이라 믿으며 걸어가는 자세이기도 하죠.


저는 어느 날, 더 이상 ‘확신 있는 척’ 하지 않기로 결심했습니다.

대신 이렇게 말하게 되었어요.


“저는 모든 답을 알고 있진 않지만, 여러분과 함께 알아가고 싶습니다.”


오늘날의 리더십은 ‘완벽함’보다 진정성, 중심 잡힌 태도, 그리고 불편함을 마주할 수 있는 용기에서 시작됩니다. 왜냐하면 바로 그 지점에서 진짜 변화가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한계를 넘어서는 연습

🎤 지금의 한계를 넘어서거나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를 세우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그런 목표는 단순한 성과를 넘어, 자신을 성장시키는 도전이기 때문입니다.

익숙함 너머로 나아가게 만들고,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이끕니다.


저는 과거 90일 동안 하나의 불가능해 보였던 목표를 작고 구체적인 단계들로 나누어 실천한 적이 있습니다.막막했지만, 점차 그 목표가 손에 잡히는 거리로 다가오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 과정에서 배운 것은, 대담한 목표는 지금의 내가 아니라, ‘되어가는 나’를 기준으로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처음엔 멀게만 느껴졌던 목표가 어느새 ‘새로운 나의 기준’이 되었고,불가능처럼 보였던 일이 현실이 되는 경험으로 이어졌습니다.


kalpana chandran
KMCP 코칭 세션 (2025년 5–6월) – 통찰을 행동으로, 지식경영은 순간이 아닌 사고방식임을 증명한 시간
사고 리더십의 시작: 공감과 반영

🎤 리더의 성장을 진심으로 돕는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인가요?

저는 리더에게 지도를 건네주기보다, 거울을 들어 비춰주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그들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뿐 아니라, ‘누가 되어가고 있는지’ 함께 바라볼 수 있도록, 질문으로 여는 대화를 중시합니다.


그 과정에서 가장 신경 쓰는 건, 의구심이 판단 없이 드러나고, 새로운 시도를 안전하게 해볼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일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자기 속도로 일어설 수 있다는 것을 믿으며, 혼자가 아니라는 감각을 잃지 않도록 곁에 머물러 줍니다.


진짜 리더십은 정답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이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를 신뢰하도록 이끄는 과정에서 시작됩니다.


그리고 사고 리더십은, 자신의 이야기가 의미 있다고 믿는 순간에 싹틉니다. 저의 역할은, 그들이 스스로를 믿을 준비가 될 때까지 그들의 이야기를 먼저 신뢰하고 들어주는 사람으로 곁에 있는 것입니다.


🎤 실제 삶에서 마주하는 '진짜 사고 리더십'은 당신에게 어떤 모습인가요?

사고 리더십은 좋은 인상을 남기는 것보다, 의미 있는 것을 나누는 데서 시작된다고 봅니다. 그렇게 할 때 이야기를 통해 사람들과 연결되고, 진심이 닿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특히 어려운 순간에서 얻은 배움을, 다른 이들이 공감하거나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나누는 일, 그것이 사고 리더십의 핵심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종종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이 경험에서 내가 얻은 것 중,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건 무엇일까?


그리고 솔직하게 나누는 걸 선택합니다. 정직한 이야기는 다른 사람에게도 자신의 진심을 꺼낼 용기를 주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진정한 사고 리더십은 전문성이 아니라 ‘정직함’에서 시작된다고 믿습니다.


MIT Away
2023년 10월, MIT Away 리더십 워크숍에서 리드 트레이너 & 퍼실리테이터로 참여
리더십의 본질: 자기 신뢰와 회복의 힘

🎤 리더십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당신이 가장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리더십은 직함이나 역할에서 시작되지 않습니다.자신의 목소리를 신뢰하고, 내면의 신호에 귀 기울이며, 불확실함 속에서도 다시 일어서기로 선택하는 용기에서 시작됩니다.


제가 가장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이겁니다:변화는 언제든 가능하며, 다시 시작하는 것은 실패 때문이 아니라 성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멈춰 있는 게 아닙니다. 여전히 여정을 걷고 있습니다.

그리고 진짜 전환은, 종종 자신을 향한 작지만 용기 있는 질문 하나에서 시작됩니다.


이 인터뷰 시리즈는 Global Influencers Publishing House에서 출간된 Shaken, Stirred, But Not Deterred Vol. 3 — a celebration of the human spirit의 공동 저자들이 전하는, 흔들리면서도 멈추지 않는 리더십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각자의 목소리로 전하는 솔직하고 깊이 있는 이야기 속에서, 진짜 리더십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만나보세요.


🔗 칼파나 찬드라의 리더십 허브 방문하기 : https://www.quantum-leapers.com


뉴스레터를 통해 정기적으로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댓글


bottom of page